-
지하철 정기권 완벽 정리카테고리 없음 2017. 6. 20. 00:31반응형
회사에 출근할 때는 대부분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 버스와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실 텐데요. 두 가지를 같이 타시는 분들은 티머니 카드로 환승 제도를 이용하면 되지만 지하철만 이용하여 출/ 퇴근 하시는 분들에게는 지하철 정기권이 더욱 이득이 되기 때문에 이 글을 써 보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아도 서울의 지하철 수준은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이렇게 복잡한 노선이지만 정기권 하나만 있으면 어디든 갈 수 있습니다. 다만 종별에 맞게 사용하셔야 한다는 건 기억하셔야 합니다.
위에 보이시는 사진이 지하철만 이용 가능한 정기권입니다. 가격은 2,500원으로 구입하시고 본인이 주로 이용하는 구간에 맞게 충전을 하시면 가능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충전할 날부터 절대 한 달이 아닌 30일까지입니다. 횟수는 60회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표를 보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 겁니다. 거리비례용 14종이 구별되며 서울 전용 정기권으로는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승차는 불가합니다. 7호선 연장구간 까치울에서 부평구청, 코레일 분당선 구간인 모란역은 서울 전용 사용구간이 아닙니다. 이점 참고하셔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1단계를 구입하시고도 서울 이외의 지역으로 하차하시게 되면 횟수가 차감이 됩니다. 제가 1단계 기준으로 30일 사용 하였을 때 큰 금액은 아니지만 티머니 카드를 이용하는 것보다 나름 저렴하게 이용하였습니다. 또한 30일 동안 60회를 전부 사용하는 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분명 횟수가 남게 될 텐데 30일이 지나게 되면 사용이 불가하며, 재충전시 횟수가 이월되지는 않습니다.
본인이 계산할 때 손익분기점과 할인율을 알아보기 쉽게 만든 표인데요 자신의 지하철 이용에 맞게 계산을 해보시면 경제적으로 정기권을 이용하실 것 같습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역무실에서 구매할 때 역 직원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끝으로 1인 1매가 원칙이기 때문에 타인과 동반으로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반환은 잔여일 수와 잔여횟수를 감안해서 나온 금액을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불량 카드는 사용횟수가 적용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