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주휴수당 계산기 및 조건 확인
    카테고리 없음 2017. 8. 29. 13:49
    반응형


    많은 분들이 아르바이트를 해본 경험이 있거나 지금 이 시간에도 알바를 하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지금부터 주휴수당 계산기와 조건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먼저 주휴수당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게요. 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 날을 다 채운 경우에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유급 주휴일에 받는 돈을 의미합니다.



    아르바이트를 하시는 분들은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꼭 받아야 할 권리이기 때문에 놓쳐서는 안됩니다. 지금부터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주일 동안 일한 근로시간과 시간당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일주일 동안 20시간 일하고 시간당 급여가 7,000원이라고 한다면 예상되는 주휴수당은 28,000원이 됩니다.



    이렇게 보기 쉽게 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산 방식은 일주일에 총 근무하는 시간/40시간 * 8시간 * 시급이 됩니다. 또한 월급을 받는 분들 역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월급에 주휴수당이 포함이 되어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지금부터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루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 분들이 대상이 됩니다. 이는 성실히 근무한다는 조건이 전제로 되어있습니다. 만약에 본인이 지각을 하거나 결근을 하게 되었을 때는 주휴수당 조건에 맞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성실히 일하며 개근하는 게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몇몇 못된 업주들이 있어서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근로계약서를 미리 작성해서 문서로 남겨놔야 합니다.



    만약에 업주가 주휴수당을 근로자에게 주지 않는다면 법적으로 처벌이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의해서 2년 이하의 징역과 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게 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것도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고용주는 반드시 근로계약서를 써야 하며 주휴수당을 줘야 합니다. 만약 임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주휴수당 계산 방법과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밑에 있는 주휴수당 계산기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