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둥 번개가 치는 이유는?카테고리 없음 2020. 8. 8. 22:05반응형
요즘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많은 분들이 힘드실텐데요. 코로나 바이러스탓에 마스크써서 답답한데, 이제는 비까지 매일 오다보니 마음마저 우울해지는 시기입니다. 게다가 비의 양도 어마어마하게 오고 있어서 낮은 지역에 사시는 분들은 큰 피해마저 보고 있습니다. 다들 침수피해 조심하시기 바라며 오늘은 비와 관련된 천둥 번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들이 5살이다보니 이것저것 궁금한게 많아 이건 왜 이래? 저건 왜 이래? 계속 물어보고 저는 답변하면서 하루하루 보내고 있는데요. 오늘은 갑자기 아빠 천둥 번개는 왜 있어?라고 물어보더라고요. 갑자기 과학적인 질문을 하니 저는 벙어리가 되어서 제대로 답변도 못하겠고 어떻게 설명해야 유치원생인 아들이 이해를 할 수 있을까 의문이 생기더라고요.
저처럼 자녀분들이 물어 보았을때 어떻게 하면 쉽게 답변을 할지 한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준사전에서 정의하는 천둥은 번개를 동반하여 발생하는 대기중의 현상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면 공중에 있는 전기의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리입니다. 번개가 발생할때 주변의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주변공기가 팽창하게 되고 뜨거워진 공기와 주변의 찬 공기가 부딪히는데 이때 엄청난 진동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생기는 충격파를 천둥이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번개가 발생할때 생기는 30,000도라는 상상도 안되는 뜨거운 공기가 대기중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만나게 되니 우리가 천둥소리를 들을때마다 깜짝 깜짝 놀라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아이한테 설명할때는 깊게 설명할 필요없이 뜨거운 공기랑 차가운 공기랑 싸우니까 생기는 소리가 천둥소리라고 설명하시면 될것같아요.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저만의 생각입니다.
다음은 번개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번개는 대기중에 있는 전기가 지면에 있는 전기와 만나게 되면서 엄청난 고압의 에너지가 생기는데 이때 생기는 불빛을 우리가 번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진으로 보면 이해하기가 쉬울겁니다. 구름의 상단에는 +전기가 구름의 하단에는 -전기가 있는데요. 지면에 있는 +전기와 -전기가 만나게 되면서 생기는 방전이 정전기 형태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게 우리가 알고 있는 번개가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다시 말해 대기중의 전기와 지면의 전기가 만나게 되면 번개가 발생하고 이때 발생되는 번개의 뜨거운 온도와 대기중 찬 온도가 만나 천둥이라는게 발생되게 됩니다.
둘은 독립적으로 생기지 않고 함께 발생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때 아이가 또 질문을 할수도 있습니다.
아빠 왜 번개는 일자로 내려오지 않냐고? 거기에 대한 답변은 번개는 빨리 땅으로 내려오고 싶은데 전기가 가장 잘 통하는 곳을 찾아서 이동하다보니 지그재그로 내려온다고 대답해주시면 될것같아요.
유의사항으로는 번개가 발생하게 되면 큰 나무나 바위, 철탑, 송전선로 있는 전깃줄, 안테나 등등이 있는 지역은 피하셔야 합니다. 휴대폰도 전기가 통할 수 있으므로 통화는 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군대에 있을때에도 비가올때 이동중에는 총구를 하늘로 향하지 말고 개머리판을 하늘로 향해서 이동하라는 말을 들었는데 같은 원리인것 같습니다.
아이가 물어보면 두루뭉실하게 대답하기 보다는 최대한 알아듣기 쉽게 잘 말씀해주세요.
지금까지 천둥 번개가 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