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보안법에 대한 국제 대응국제뉴스 2020. 5. 30. 22:34반응형요즘 시국이 엄청 혼란스럽습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많이 힘든 시기입니다. 확실한 증거는 나오지 않았지만, 중국에서 인위적으로 만든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런데 이때 중국에서는 또 다른 야욕을 보이고 있는데요.
바로 홍콩에 국가보안법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먼저 홍콩 국가보안법이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월 22일 중국의 총리는 홍콩 보안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고, 5월 28일 일사천리로 통과가 되었습니다.
국가보안법이라는 명명아래 정부에 반대하는 사람에게는 강제적으로 법을 집행할 수가 있게되는데요.
이는 우리나라 역시 군사정권 시절아래 무수히도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봤던 무서운 법입니다.
물론 이게 잘 지켜진다면 상관은 없지만 과연 공산국가인 중국이 올바르게 시행할지는 안봐도 뻔한 그림일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시행이 되면 그 순간부터 홍콩내에서는 대규모 시위가 불가능해지며, 민주인사들의 선거활동도 금지되게 됩니다. 최장 30년의 징역형을 내릴수 있도록 규정이 된 상태입니다. 이는 중국 공산정부에서 홍콩을 완전하게 장악하겠다는 의도로 보여집니다.
상황이 이렇게 진행되면서 중국과 반대되는 입장을 보인 미국 과 영국에서 역시 칼을 빼들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미국은 기존 홍콩이 받아왔던 우대정책을 없애려고 합니다. 1997년 홍콩이 영국으로 반환되었지만, 홍콩법에 의해 일국양제 시스템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토와는 다르게 금융, 대중관세, 무역, 비자발급등 특별히 대우해 주었습니다. 황금알을 낳고 있었던 홍콩이었지만, 중국의 오만한 결정으로 인해서 이제는 이 모든게 사라지게 될 예정입니다.
영국에서는 시진핑이 깜짝 놀랄만한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홍콩의 주민 약 30만명에게 추가로 영국 시민권 취득을 지원하는 겁니다. 영국해외시민권(BNO)는 홍콩 반환 전 약 31만명이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인권문제를 거론하면서 홍콩 주민의 자유와 권리를 위해서 시민권이라는 카드를 내놓았습니다.
중국과 적대적인 대만에서는 홍콩인의 이민을 돕겠다고 나서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신경쓰지 말라고 하는 상황인데 시간이 갈수록 중국에게는 좋지 못한 상황이 펼쳐질것으로 생각됩니다. 한 가지 걱정인것은 대한민국에게도 미국과 중국에서 우리편을 들어달라고 하는 시점입니다. 한국으로선 선뜻 어느편에 서는것도 결정할 수가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공산국가를 믿으면 안된다고 생각됩니다.
하루빨리 오만한 중국의 공산정권이 무너지고 홍콩인들에게 자유가 생기길 기원하겠습니다.
반응형